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 제도 개요

by 곤팅군세상 2024. 12. 19.
728x90
반응형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 제도는 비정규직 근로자, 실업자, 무급휴직자, 자영업자 등 다양한 고용 형태의 근로자들이 직업훈련을 받는 동안 생계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2024년에는 이 제도가 더욱 확대되어 많은 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 제도의 지원대상, 지원내용, 신청방법 등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 제도는 근로복지공단에서 운영하며, 직업훈련에 참여하는 근로자들에게 생계비를 대부해주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를 통해 훈련에 참여하는 동안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으며, 훈련 후 취업에 대한 기회를 높일 수 있습니다. 특히, 2024년에는 지원대상이 확대되고, 대부 한도도 증가하여 더 많은 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지원대상

2024년 지원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140시간 이상 직업훈련 참여 비정규직 근로자, 실업자 : 고용보험 가입 이력이 있는 자, 무급휴직자, 자영업자 중 소득요건을 충족하는 사람.
  • 가구원 합산소득 : 가구별 기준 중위소득의 80% 이하인 자. 단,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및 첨단산업 디지털 핵심 실무인재 양성훈련 참여자는 기준 중위소득의 100% 이하.
  • 특별고용지원업종, 고용위기지역 및 특별재난지역 : 이 경우 소득요건이 없습니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분들은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 제도를 통해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내용

지원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대부 한도액 : 1인당 최대 1,000만 원. 특별고용지원업종, 고용위기지역 및 특별재난지역의 경우 2,000만 원까지 가능합니다.
  • 월별 대부 한도액 : 월 최대 200만 원, 최소 50만 원.
  • 상환 방법 : 1년 거치 3년, 2년 거치 4년, 3년 거치 5년으로 균등분할 상환이 가능합니다.
  • 융자금리 : 연 1%로 매우 저렴한 금리로 대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원내용은 직업훈련을 받는 동안 생계비 부담을 덜어주어 훈련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신청방법

신청방법은 두 가지로 나뉩니다:

  1. 온라인 신청 : 근로복지공단의 근로복지넷 웹사이트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www.welfare.comwel.or.kr)
  2. 방문 신청 : 가까운 근로복지공단 지사를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시 필요한 서류와 절차는 근로복지공단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미리 준비해두면 원활한 신청이 가능합니다.

문의 및 추가 정보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 제도에 대한 문의는 근로복지공단 콜센터를 통해 가능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문의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으시기 바랍니다.

관련 링크 및 자료

더욱 자세한 정보는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정보를 통해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 제도를 잘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많은 분들이 이 제도를 통해 경제적 부담을 덜고,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노력하시길 바랍니다.

 

 

 

이런 자료를 참고 했어요.

[1] 고용24 -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

(https://m.work24.go.kr/cm/c/f/1100/selecSystInfo.do?currentPageNo=1&recordCountPerPage=10&systClId=SC00000058&systId=SI00000366)

[2] NAVER - 2024년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 신청 방법은? - 네이버블로그

(https://blog.naver.com/comwel2009/223425378307)

[3] 근로복지서비스 - 직업훈련 생계비 대출신청 - 근로복지서비스

(https://welfare.comwel.or.kr/default/page.do?mCode=B020010000)

[4] 고용노동부 - 고용보험 직업훈련생계비 대부 지원한도 확대

(https://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16895)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