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주자들의 경제 공약, 실현 가능성과 설득력을 비교해보자
2025년 대선을 앞두고 유력 후보로 떠오른 이재명과 이준석, 두 사람의 경제 공약이
국민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후보의 경제정책이 어떤 방향성을
갖고 있으며, 현실성과 설득력 측면에서 누가 더 우위를 점하는지 비교해보겠습니다.
재정 건전성, 일자리 정책, 세금 방향 등 주요 키워드를 중심으로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이재명 후보, 민생 중심의 강력한 확장 재정 정책
이재명 후보는 ‘전 국민 기본소득’을 포함한 확장적 재정정책을 앞세우고 있습니다.
재정 지출 확대를 통해 민생 안정과 소비 촉진을 유도하겠다는 접근입니다.
이는 장기적 경기 활성화를 꾀하는 포괄적 전략으로, 코로나 이후 회복세가
더딘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큰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다만, 재원 마련 방안의 구체성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으며
"재정 파탄을 부를 수 있다"는 보수 진영의 반박 또한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이준석 후보, 젊은 세대 중심의 시장친화 정책 강조
이준석 후보는 감세와 규제 완화를 중심으로 한 시장 자율성 확대를 주장합니다.
특히 청년 창업과 벤처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책들이 돋보이며, 디지털 전환과
AI 산업에 특화된 경제 프레임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청년층을 위한 맞춤형 경제 비전으로 참신함을 주지만, 기존 시장 주도 정책이
불평등 해소에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비판도 적지 않습니다.
정책 비교표로 살펴보는 핵심 차이
항목 이재명 이준석
재정 기조 | 확장 재정, 직접 지원 중심 | 건전 재정, 민간 중심 성장 |
일자리 정책 | 공공 일자리 창출 확대 | 창업 중심 민간 고용 유도 |
청년 대책 | 기본소득·청년 주거 지원 확대 | 창업 펀드·스타트업 지원 강화 |
이재명의 공공 중심 전략, 불평등 해소에는 유리한가?
이재명 후보는 정부 주도의 공공 일자리, 주거 복지, 기본소득 등을 전면에 내세우며
불평등 해소와 사회 안정성을 가장 큰 가치로 삼고 있습니다.
단기적 효과는 뚜렷할 수 있으나 장기 지속 가능성과 세수 기반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역효과도 우려됩니다.
이준석의 민간 주도 전략, 지속 가능성과 혁신 가능성은?
이준석 후보는 자유시장 경제 원리를 바탕으로 정부의 역할을 최소화하려 합니다.
디지털 시대에 맞는 산업 구조 개편을 강조하며, 미래 지향적이라는 평가를 받습니다.
다만, 양극화를 심화시킬 가능성과 소외 계층에 대한 배려 부족 우려가
현실 정치에서 단점으로 지목될 수 있습니다.
정책 실현 가능성 측면에서의 차이점
이재명 후보의 경우 다수의 정책이 법 개정이나 국회 예산 승인 등
정치적 협상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에 따른 시행 장벽이 존재합니다.
반면 이준석 후보는 제도보다는 규제 해제를 통한 민간 중심 접근이
상대적으로 실행 속도는 빠를 수 있지만, 부작용 통제 장치가 미흡할 수 있습니다.
유권자 관점에서 어떤 공약이 현실적일까?
현재 경제 여건과 계층별 입장을 고려했을 때, 저소득층과 중장년층은
이재명 후보의 정책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혜택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반면, 2030세대와 중산층 이상은 이준석 후보의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경제 정책에 더 매력을 느낄 수 있는 구조입니다.
결론: 공약의 설득력은 타깃 계층에 따라 달라진다
정리하자면 이재명 후보는 안정과 복지를, 이준석 후보는 혁신과 자율을
내세우고 있는 셈입니다. 설득력의 우위는 ‘어떤 유권자를 대상으로 하느냐’에 따라
완전히 달라지며, 누가 더 설득력 있는 경제 정책을 내세우고 있다고
단언하긴 어렵습니다. 결국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효성과 타이밍이
선거 결과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댓글